![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images/basic/pubreader_back.gif)
핵폭발 고도별 피해효과 분석을 통한 방호계획 발전방안 연구
Ⓒ 2024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의 핵무기 위협에 대비하여 방호계획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2023년 북한의 핵무기 공중폭발 실험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NUKEMAP 시뮬레이션을 통해 폭발고도(표면폭발, 150 m, 400 m, 800 m)에 따른 핵무기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폭발고도에 따라 피해 범위가 달라지며, 적절한 대피 및 방호계획이 핵무기 공격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FEMA의 핵폭발 대응 지침을 바탕으로 피해지역 설정 및 대응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핵무기 공격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호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d defense strategie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By analyzing data from North Korea’s 2023 nuclear airburst tests and evaluating nuclear effects through NUKEMAP simulation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pact and damage vary based on detonation altitude(surface, 150 m, 400 m, 800 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evacuation and defense plans. The study also suggests a framework for setting damage zones and response concepts based on FEMA’s guidelin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developing systematic defense plans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 nuclear attack.
Keywords:
Nuclear Protection, Nuclear Protection Plans, Height of Burst, Air Bursts, Classification of Damage Zones키워드:
핵 방호, 핵 방호계획, 폭발고도, 공중폭발, 피해지역 설정References
- 손효주, “北, 南전역 타격 전술핵 800m 상공서 폭발시험... 살상능력 극대화 위협”, 동아일보, 2023. 3. 21.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30321/118439862
-
Glasston and Dolan, The Effects of Nuclear Weapons (3rd E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Defense, pp. 154-157, 1977.
[https://doi.org/10.21236/ADA087568]
- 김석봉, 오경두, 백상호, 이준학, 박영준, 백종혁, “방호공학 제2판,” 청문각, p. 116, 2015.
- Kim, H. M., “Republic of Korea’s Direction for Preparedness and Response against NK’s Fourth Nuclear Test,”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pp. 33-48, 2016.
- 스티븐 워커, “카운트다운 히로시마,” 황금가지, pp. 337-338, 2005.
- HDoA, “Multi-service Reference for Chemical Biological Radiological and Nuclear Warning and Reporting and Hazard Prediction Procedures,” Washington D.C, 2017.
- 류동관, “북한의 핵 사용 유형과 방사성 물질의 거동에 기초한 국민 방호 대비 방향,” 한국과 국제사회 제7권 5호, pp. 717-745, 2023.
- 양욱, “2023년 북한 핵개발 현황 및 평가,” Issue Brief, 아산정책연구원, pp. 3-4, 2023. 12. 28.
- David Albrigh,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Arsenal (New Estimates of its Size and Configuration),” ISIS Report, pp. 5-6, 2023. 4. 10.
- 이근평, “용산 상공 400m서 핵폭발 김정은 ‘최대 살상고도’ 찾고 있다,” 중앙일보, 2023. 9. 7.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90620
-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기후통계분석 》평년값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검색일자: 2024. 8. 17. https://data.kma.go.kr/climate/average30Years/selectAverage30YearsKoreaList.do?pgmNo=188
- FEMA, “Planning Guidance for Response to a Nuclear Detonation (3rd Ed.)”, pp. 42-54, 2022
- FEMA, “Nuclear Detonation Response Guidance Planning for the First 72 Hour,” pp. 74-96,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