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군 계획정비제도(PMS)의 소요공시 적절성에 관한 연구
© 2021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해군은 함정의 정격성능 유지를 위해 승조원이 직접 장비를 정비하는 계획정비제도(PMS)를 수행중이다. PMS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시간(공시)은 승조원의 능력에 따라 다르다. 정비능력은 정비 경험이나 개인의 능력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해군의 교육정책으로 수준이 과거와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MS의 실제 정비 소요시간을 조사하여 현행 PMS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The Navy is operating a planned maintenance system (PMS). This is a system in which the crew directly maintains the equipment to maintain the ship's performance. The time required to perform the PMS depends on the crew's capabilities. Maintenance capacity may vary depending on maintenance experience or individual capabilities, and the Navy’s education system make difference to maintenance capabilities. In this study, actual maintenance time was investigated. It draws out the problems of the current PM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Keywords:
Planned Maintenance System, Experience, Maintenance Capability, Bayesian Estimation키워드:
계획정비제도 , 승조경력, 정비능력, 베이지안 추정Acknowledgments
지금 이 시간에도 묵묵히 많은 함 일정과 정비 업무를 수행하고 계신 대한민국 해군 함정 승조원 여러분의 희생과 노력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설문에 참가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References
- Besançon, M., Anthoff, D., Arslan, A., Byrne, S., Lin, D., Papamarkou, T., and Pearson, J. (2019). Distributions. jl: Definition and modeling of probability distributions in the JuliaStats ecosystem. arXiv preprint arXiv:1907.08611.
-
Gelman, A., and Hill, J. (2006). Dataanalysis using regression and multilevel / hierarchical mod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https://doi.org/10.1017/CBO9780511790942]
-
Betancourt, M., and Girolami, M. (2015). Hamiltonian Monte Carlo for hierarchical models. Current trends in Bayesian methodology with applications, 79(30), 2-4.
[https://doi.org/10.1201/b18502-11]
-
Oliva, Rogelio, and John D. Sterman (2001), “Cutting corners and working overtime: Quality erosion in the service industry,” Management Science, Vol.47, No.7, 894-914.
[https://doi.org/10.1287/mnsc.47.7.894.9807]
- 최진우, 문성암, 김동진. (2020). 피로도가 업무속도와 재작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1, 345-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