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주함대 건설을 위하여: 해양시대 궤적과 미래 우주전장시대
© 2023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인류의 해양에 대한 탐구 및 탐험에 대한 역사의 과정은 다가올 미래 우주시대에 우주에 대한 탐구 및 탐험에 대한 시금석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양력의 발전 궤적이 현재 및 미래 우주력의 발전 방향과 거의 유사하게 진행될 것임을 예시한다. 마한(Alfred Thayer Mahan)은 바다의 자유로운 사용, 즉 해양통제는 자국에게는 평시에 국부의 원천이 되고 전시에는 승리의 원동력이 된다고 주장하였다. 이는 다가올 미래 우주시대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이 미래 우주우세권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우주개발에 대한 효율적인 민·관·군 통합조직 창설 및 투자와 더불어 우주함대 건설을 해군이 선도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
It can be seen that the historical process of mankind's research and exploration of the ocean is highly likely to become a touchstone for exploration and exploration of the universe in the future space age. This paper exemplifies that the trajectory of the development of sea power will proceed almost in the same direction as that of current and future space power. Alfred Thayer Mahan argued that the free use of the sea, that is, control over the sea, is a source of national wealth in peacetime and a driving force for victory in wartime. This is highly likely to be similarly applied to the upcoming space age. In order for the Republic of Korea to possess the future space superiority, it was argued that the Navy should lead the construction of a space fleet along with the creation and investment of an efficient public-private-military integrated organization for space development.
Keywords:
Space Power, Space Fleet, Space Superiority, Maritime Age, Space Age키워드:
우주력, 우주함대, 우주우세권, 해양시대, 우주시대References
- 김상배 편, 『우주경쟁의 세계정치』 (서울: 한울 아카데미, 2020)
- 리저 편저·송은진 역, 『역사가 기억하는 세계 100대 전쟁』 (고양: 꾸벅, 2007)
- 로버트 제이콥슨 저· 손용수 역, 『우주에 도착한 투자자들: 부와 기회를 확장하는 8가지 우주 비즈니스』 (서울: 유노북스, 2022)
- 박병구, 『한중일 석유전쟁』 (서울: 한스미디어, 2006)
- 박창권 등 11명, 『21세기 해양안보와 국제관계: 갈등과 협력 그리고 경쟁』 (서울: 북코리아, 2017).
- 버나드 몽고메리 저·송영조 역, 『전쟁의 역사』 (서울: 책세상, 2007) 알프레드 세이어 마한 저·김주식 역,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 (서울: 책세상, 2003)
- 장학근 등 4명, 『세계의 역사를 움직인 배들』 (진해: 해군사관학교, 1996)
- 조지프 커민스 저·채인택 역, 『별난전쟁, 특별한 작전』 (서울: 플래닛미디어, 2009)
- 지오프리 파커 저·김성환 역, 『아틀라스 세계사』 (서울: 사계절, 2007)
- 켈리 제라디 저·이지민 역, 『우주시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서울: 혜윰터, 2022)
- 피터 자이한 저, 홍지수·정훈역, 『21세기 미국의 패권과 지정학』 (서울: 김앤김북스, 2019)
- R.G. 그랜트 저·조학제 역, 『해전 3,000년』 (계룡: 해군본부, 2012)
- 해군대학, 『세계해전사』 (대전: 해군대학, 1998)
- 해군대학, 『세계해전사역사 속의 해군력 운용과 해전』 (대전: 해군대학, 2011)
- Bruce Bueno de Mesquita, Principles of International Politics: Peoples Power, Preference and Perceptions (Washington, D.C.: CQ Press, 2000)
- E. H. Carr 지음·김택현 옮김, 『역사란 무엇인가』 (서울: 까치글방, 2016)
- 강한태, “미래전 대비, 무인기의 군사적 운용방향,” 『국방정책연구』 제35권 제1호(2019년 봄), pp. 14-27.
- 김기호, “일본의 해양전략과 해상자위대 증강동향,” 한국해양전략연구소 편, 『2020-2021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박영사, 2021), pp. 120-148.
- 김덕기, “중국의 해양전략과 해군력 증강동향,” 한국해양전략연구소 편, 『2020-2021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박영사, 2021)
- 장영근, “뉴 스페이스 시대의 우주발사체 개발현황과 전망,” 『KIMA』 Vol. 51(May 2022), pp. 104-114.
- 정영주, “인공지능을 통한 ATO 기획체계 발전: 전투계획 자동화를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제38권 제2호(2022년 여름), pp. 125-156.
- 이내주, “약관 19세의 술탄, 세계의 지배자 야심 품다,” 국방일보 (2018. 6. 7)
- 공미라, “지구를 둘로 쪼개 나눠 가진 포르투갈·에스파냐,” 조선일보 (2014. 7. 11).
- 서민영, “이슬람교·기독교 간 200년 혈투… 각종 문물도 전해졌죠,” 조선일보 (2022. 4. 27).
- 김동하, “우주위원장 직접 맡은 尹 "10년뒤 달에서 자원 채굴",” 조선일보 (2022. 11. 29).
- 한화그룹 네이버 포스트, “우주정거장에서 비행사들은 무엇을 하고 어떻게 생활할까?”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4125018&memberNo=1972196&vType=VERTICAL, , 검색일: 2022. 10. 12.)
- 네이버 지식백과, ‘우주정거장’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51262&cid=47341&categoryId=47341, , 검색일: 2022.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