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태평양 전략 추진을 위한 한국형 해양영역인식 발전 방안
Ⓒ 2024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본 연구는 먼저 인도-태평양 전략의 안보 분야 이행을 위해 국제 수준의 해양영역인식(MDA)을 강화하려는 한국 정부에게 필요한 함의를 도출한다. 다음으로는 주요 선진국들의 MDA 추진 현황을 정리하고, MDA의 국제협력에 기여하기 위한 한국 정부의 전략적 방향성에 관한 정책을 제언한다. 한국은 국가적 차원에서 MDA 구축에 관한 공감대 형성과 함께 자체적인 거버넌스 구축에 나서야 한다. 이후 국제적인 수준에서 MDA에 관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통합적인 정보 수집 및 분석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
Abstract
In this article, authors focus on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emphasized in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attempt to make policy suggestions to put it into practice. First, authors draw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which seeks to strengthen maritime domain awareness (MDA) at the international level to implement the security sector of the IP Strategy. Next, authors summarize the status of MDA promotion in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propose policies regarding the Korean government's strategic direction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MDA. Korea must form a consensus on establishing MDA at the national level and take steps to establish its own governance. Thereafter, the necessary efforts must be focused on establishing governance for MDA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systematically conducting integrated information collection and analysis
Keywords:
Maritime Domain Awareness, Indo-Pacific Strategy, Maritime Information, Maritime Security, Information Fusion Center키워드:
해양영역인식, 인도-태평양전략, 해양정보, 해양안보, 정보융합센터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인도-태평양 전략 국방분야 이행을 위한 국제 해양영역인식 협력 방안 연구’의 일부 내용을 대폭 수정 및 보완한 글임을 밝힘.
References
-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2023), Progress Report of the ROK’s Indo-Pacific Strategy.
- 한국해양전략연구소(2024), “일본의 해양영역인식(MDA) 구상(번역본)”, https://kims.or.kr/publication/issue-focus/if-2409, (검색일: 2024. 8. 16.)
- 오경원(2024), “국가차원의 해양영역인식(MDA) 체계 발전 방향,” 『2024 국방우주세미나 자료집』.
- 오경원·임경한·이숙연·김재호(2024), 『인도-태평양 전략 국방분야 이행을 위한 국제 해양영역인식 협력 방안 연구』.
- 전성환(2024), “인태지역 해양안보 정세를 고려한 국제 협력 강화방안,” 『2024 해양안보 핵심기술 심포지엄 자료집』.
- 대한민국정부(2022), 『자유, 평화, 번영의 인도-태평양 전략』.
- 임경한(2024), “미중 해군력 경쟁 시대 동아시아 해양의 전략적 중요성과 함의.『Journal of KNST』 Vol. 7, No. 1, pp. 7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