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 Article ]
Journal of the KNST - Vol. 7, No. 4, pp.548-555
ISSN: 2635-492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01 Oct 2024 Revised 07 Oct 2024 Accepted 14 Nov 2024
DOI: https://doi.org/10.31818/JKNST.2024.12.7.4.548

핵폭발 고도별 피해효과 분석을 통한 방호계획 발전방안 연구

이정대1, * ; 박승우1 ; 김병직2
1숭실대학교대학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박사과정
2숭실대학교대학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교수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tection Plans Through Analysis of Damage Effects by Nuclear Detonation Altitude
Jung-Dae Lee1, * ; Seunng-Woo Park1 ; Byungjik Kim2
1Ph.D. candidate, Dept. of Safety & Health Convergence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2Professor, Dept. of Safety & Health Convergence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Jung-Dae Lee E-mail: ijsfc99@naver.com

Ⓒ 2024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은 북한의 핵무기 위협에 대비하여 방호계획을 개선하기 위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2023년 북한의 핵무기 공중폭발 실험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NUKEMAP 시뮬레이션을 통해 폭발고도(표면폭발, 150 m, 400 m, 800 m)에 따른 핵무기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폭발고도에 따라 피해 범위가 달라지며, 적절한 대피 및 방호계획이 핵무기 공격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FEMA의 핵폭발 대응 지침을 바탕으로 피해지역 설정 및 대응개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핵무기 공격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호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improved defense strategies against North Korea’s nuclear threat. By analyzing data from North Korea’s 2023 nuclear airburst tests and evaluating nuclear effects through NUKEMAP simulations, the study confirms that the impact and damage vary based on detonation altitude(surface, 150 m, 400 m, 800 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ppropriate evacuation and defense plans. The study also suggests a framework for setting damage zones and response concepts based on FEMA’s guidelines.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developing systematic defense plans to minimize damage in the event of a nuclear attack.

Keywords:

Nuclear Protection, Nuclear Protection Plans, Height of Burst, Air Bursts, Classification of Damage Zones

키워드:

핵 방호, 핵 방호계획, 폭발고도, 공중폭발, 피해지역 설정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