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Archive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and Technology - Vol. 6 , No. 3

[ Article ]
Journal of the KNST - Vol. 6, No. 3, pp. 272-278
Abbreviation: KNST
ISSN: 2635-492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03 Jun 2023 Revised 13 Jun 2023 Accepted 27 Sep 2023
DOI: https://doi.org/10.31818/JKNST.2023.09.6.3.272

해군 근무환경에서 노출될 수 있는 염화알루미늄의 피부독성 예방을 위한 보호크림 개발 및 효능평가
박창용1 ; 어원석2 ; 이준원2 ; 오영현1 ; 정미경1 ; 김병직2, *
1숭실대학교대학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박사과정
2숭실대학교대학원 안전보건융합공학과 교수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kin Protective Cream for Prevention Aluminum Chloride Exposure in Navy Working Environment
Chang-Yong Park1 ; Won Souk Eoh2 ; Joon-Won Lee2 ; Young-Hyun Oh1 ; Mi Kyoung Jung1 ; Byungjick Kim2, *
1Ph.D. candidate, Dept. of Safety & Health Convergence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2Professor, Dept. of Safety & Health Convergence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Byuncjick Kim Tel: +82-2-828-7010 E-mail: bjkim@ssu.ac.kr


© 2023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본 연구는 분진 형태로 피부에 노출, 접촉성 피부염 및 화상 등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인 염화알루미늄에 대한 피부보호크림의 보호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피부감작시험을 통해 보호크림의 안전성을 확인한 후 전층배양피부를 이용하여 보호크림 도포에 따른 염화알루미늄의 피부 독성 감소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험 결과 피부 보호크림을 도포한 경우 염화알루미늄 노출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프로콜라겐 합성을 보였다. 또한 염화알루미늄은 세척 후에도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된 반면 피부 보호크림을 도포한 경우 잔존현상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피부보호크림이 선박유지 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해군 장병 및 승조원의 직업성 피부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산업안전보건 중 피부안전 및 보건공학 분야의 기초기술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s of a skin protection cream against aluminum chloride, a substance that can cause skin irritation and burns when exposed to the skin. After confirming the safety of the protective cream through skin sensitivity tests, we examined whether the cream could reduce the skin toxicity caused by aluminum chloride using a full-thickness cultured skin. The test resul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procollagen synthesis in the group where the skin protection cream was applied compared to the group exposed to aluminum chloride. Additionally, aluminum chloride was found to persist even after washing, but the protection cream inhibited its persistenc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kin protection cream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occupational skin diseases among naval personnel and maintenance crew involved in tasks such as ship maintenance.


Keywords: Navy Skin Safety and Health, Occupational Skin Disease, Dust Skin Toxicity, Skin Protection Cream, Acute Skin Toxicity
키워드: 해군 피부안전보건, 직업성 피부질환, 분진 피부독성, 피부보호크림, 피부급성중독

References
1. 장덕종, 광주 대우전자 근로자 알레르기성 피부병 집단 발병 논란, 연합뉴스, 2018.05.08.
2. 고희진, “노동부, 피부질환 유발하는 현대중공업 무용제 도료 사용금지해야,” 경향신문, 2021.09.08.
3. 김현영, 정용현, 정재황, 서길수, 문영한, 유기용제의 피부흡수 연구,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7(2), pp. 279-288, 1997.
4. 김경애, 해군정비창 근무자 19명 집단 석면질환, 매일노동뉴스, 2023.09.19.
5. 오경재, 모영하, 윤한, 김명선, 이정미, 권근상, 선박수리업무에 종사하는 군무원들의 작업환경에 대한 인식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3(1), pp. 1-6, 2003.
6. Niu, Q., Over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luminum Exposure and Health of Human Being. Adv Exp Med Biol 1091, 1-31, 2018.
7. 이혜진, 이도희, 이나루, 한슬기, 화학물질의 피부 노출 평가 사례를 통한 위험성 평가 접근 방안,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연구보고서, 2022.
8. 박해동, 노지원, 폴리우레탄 코팅장갑내의 DMF 함량 및 피부노출에 대한 평가, 한국산업보건학회지, 32(2), pp. 102-110,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