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양무인체계 테스트 베드(Test Bed) 확보 필요성 및 군 활용방안
© 2020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주요 해양 선진국은 다양한 해양무인체계를 개발하여 배치 및 운용하고 있다. 해양무인체계 개발 시 해양무인체계의 안정성 및 자율성 등의 평가를 위해 테스트 베드를 운용하고 있다. 국내도 해양무인체계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이를 평가하기 위한 테스트 베드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테스트 베 구축 필요성과 테스트 베드 내 주요 계측장비 및 효율적인 군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Major marine advanced countries have developed, deployed, and operated various unmanned marine systems. When developing a marine unmanned system, a test bed is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autonomy of the unmanned marine system. In Korea, the importance of unmanned marine systems is increasing, but there is no test bed to evaluate them. Therefore, the necessity of building a test bed in Korea, major measurement equipment in the test bed, and effective military use plan are suggested.
Keywords:
Test Bed, Marine Unmanned System, Unmanned Surface Vehicle, Unmanned Underwater Vehicle키워드:
테스트 베드, 해양무인체계, 무인수상정, 무인잠수정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해군과학기술학회 2020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본 논문의 내용은 해군의 공식적인 의견이 아니며, 개인 연구결과임을 밝힙니다.
References
- http://www.doopedia.co.kr
- Jeollabuk-do, “Small Marine Unmanned System Demonstration Platform Development Technoiogy Planning,” 2019, pp. 21~39.
- http://www.navea.navy.mil/Home/Warfare-Centers/NSWC-Carderock/Who-We-Are/Bayview-Idaho/
- http://www.whoi.edu/
- Naval headquarters, “Future Marine Unmanned System Development Plan,” 2018
- Thomas Wallner, “Supercavitation-A German Status Report”, UNDERSEA FOCUS, Naval Forces, May 2003
- http://www.robox.org/index.php/about/about-robo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