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을 활용한 장병 정신건강 분석·관리 방안
Ⓒ 2024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해군 무기체계의 무인화 및 유무인복합화가 대두됨에 따라, 역설적으로 임무 수행에서 장병 한 사람이 가지는 중요성은 더 커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전투력 유지를 위하여 비전투손실 원인 중 하나인 장병 정신건강 악화에 관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군 장병 정신건강 현황과 관리 한계점, 정신건강 관련 패러다임의 변화를 살펴본 후, 해결 방안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장병 정신건강 분석·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Abstract
As the naval weapons system becomes more unmanned and manned-unmanned teamed, the importance of each military personnel in performing missions paradoxically increases. In this paper,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deterioration of military personnel's mental health, which is one of the causes of non-combat losses in order to maintain combat power. After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military personnel's mental health, management limitations, and changes in mental health-related paradigms, this study propose a solution for analyzing and managing military personnel's mental health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eywords:
Mental Health Care, Artificial Intelligence, Emotion Recognition, Multi Modal, Depressive Disorder키워드:
정신건강 관리, 인공지능, 감정인식, 멀티 모달, 우울장애References
- 차세훈, 안진현. (2021). 해양강국의 부활을 꿈꾸다. 국내기술로 만든 첫 번째 중형잠수함 도산안창호함! . 국방과 기술,(511), 38-45.
- 오제상. (1991). 무기 체계 개발과 인간공학. 국방과 기술,(151), 66-73.
- 오제상. (2004). 무기체계 개발에 운용자 능력 설계. 국방과 기술,(303), 60-66.
- 김홍태, 이종갑, 박진형, 이광우. (2002). 해상무기체계의 인간공학적 설계방안 연구. 대한인간공학회지, 21(2), 87-100.
- 김영주, 오돈석, 은영민, 이정민. (2020). 인간 및 안전공학과 연계된 안전시스템 군(軍) 우선 적용방안. 국방과 기술,(496), 106-119.
- 김수민, 김경수. (2023). 해양무인체계의 군사적 활용방안과 한국형 유령함대 건설을 위한 과제 : 미 해군 유령함대를 중심으로. 국방과 기술,(529), 146-155.
- 김경수, 이용운. (2019). 무인무기체계 및 인간의 역할 구분과 유무인 복합체계. 국방과 기술,(483), 130-139.
- 박선준, 오경원. (2023). 유무인 복합체계에서 인간의 역할에 대한 연구. Journal of the KNST, 6(1), 34-38.
- 박응진. (2024). 병역자원 감소, 함정도 피할순 없다…해군 '승조원 절감' 연구. 뉴스1. https://www.news1.kr/articles/5331222
- 현인선. (2017). 군 장병의 우울증상이 비의도적 손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 대한민국 대통령실. (2023). 尹 대통령, 예방부터 회복까지 「정신건강정책 대전환」 선언. https://www.president.go.kr/newsroom/press/sMV3E7e6
- 이종윤. (2021). 해군이 직면한 ‘인력’과 ‘전력’의 딜레마.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11121427355358
- 박성진. (2024). (2)해군은 왜 ‘수병 없는’ 군함을 바다로 내보냈나. 주간경향. https://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_id=202403040600091
- 이주원. (2020). [이주원의 군(軍)고구마] 그들은 왜 軍을 떠나나… 대책 없는 인력 유출 문제. 서울신문. https://www.seoul.co.kr/news/editOpinion/opinion/gungoguma/2020/11/09/20201109027014
- 김지훈. (2021). 잠수함 승조원 한해 절반 이상 유출…"처우 매우 열악". 머니투데이.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01416352493161
- 박찬빈, 김광식, 박영길, 박지연, 이정은, 이선미, 김용훈 . (2021). 간부 자살예방시스템 발전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 이정은. (2022). 군 정신건강지원 정책 발전방안 제언 – 해외군사례를 중심으로 -. 국방논단(1880).
- S. Gupta. (2018). Facial emotion recognition in real-time and static images. 2018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ventive Systems and Control (ICISC), Coimbatore, India, 553-560. [https://doi.org/10.1109/ICISC.2018.8398861]
- 김진옥. (2006). 상황에 민감한 베이지안 분류기를 이용한 얼굴표정 기반의 감정 인식.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13B(7), 653–662.
- 함효민, 남다은, 박현종, 안성민, 홍성준, 임경식. (2017). 로지스틱 판별 분석을 통한 한국어 구어체 문장 감정 분류 정확도 분석.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 노아영, 김영준, 김형수, 김원태. (2017). 인공지능을 활용한 다중생체신호 분석 기반 스마트 감정 관리 시스템. 전기전자학회논문지, 21(4), 397-403.
- 신영하, 송규, 윤찬녕, 조우진, 박형주, 장동영. (2021). STFT를 사용한 음성 신호 기반의 감정 분류 연구. 한국생산제조학회지, 30(5), 366-371.
- 이계환, 장준혁. (2009). 최소 분류 오차 기법과 멀티 모달 시스템을 이용한 감정 인식 알고리즘. 전자공학회논문지-SP, 46(4), 76-81.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2). 근거기반 정신건강 평가도구.
- 국립정신건강센터. (2020). 2020년 정신건강 검진도구 및 사용에 대한 표준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