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
[ Article ]
Journal of the KNST - Vol. 7, No. 4, pp.433-437
ISSN: 2635-492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19 Jun 2024 Revised 30 Jun 2024 Accepted 08 Nov 2024
DOI: https://doi.org/10.31818/JKNST.2024.12.7.4.433

특정 확장값을 가지는 항적으로 정의된 브레이드 부분군에 대한 연구

김세라1 ; 이창익2, *
1해군사관학교 기초과학과 부교수
2부산대학교 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
The Research on the Braid Subgroup Defined by Ship-wakes with the Special Dilatation
Sera Kim1 ; Chang Ik Lee2, *
1Associate Professor, Dept, of Natural Science, Republic of Korea Naval Academy
2Researcher, Industrial Mathematics Center on Big Data,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Chang Ik Lee Industrial Mathematics Center on Big data, Pusan National University 2, Busandaehak-ro 63beon-gil, Geumjeong-gu, Busan 46241, Republic of Korea Tel: +82-51-510-3120 E-mail: cilee@pusan.ac.kr

Ⓒ 2024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초록

본 논문에서는 n개의 꼬인 선으로 이루어진 브레이드를 이용하여, 유체역학에서 정적인 움직임을 제외하고 최소 확장값을 가지는 브레이드 형태를 주 파동 및 측면 파동으로 가지는 경우를 논의하고 있다. 또한 해당 브레이드의 확장값 계산 및 이 형태가 가지는 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 항적을 이용한 특수 항적군에 대하여 정의하고자 한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aim to discuss the ship-wake form as an optimal braid configuration with the minimum dilatation in fluid dynamics and the calculation of dilatations for the pseudo-Anosov homeomorphisms. We consider the advantages of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analyze ship-wake image. Additionally, we investigate to define a special ship-wake group utilizing these braid form.

Keywords:

Ship Wake, Braid Group, Dilatation with Golden Ratio, Group Presentation

키워드:

함선의 항적, 브레이드 군, 황금비 확장값, 군표현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4년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학술연구과제(항적으로 정의된 브레이드 부분군에 대한 연구) 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