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and Technology - Vol. 3 , No. 1

[ Article ]
Journal of the KNST - Vol. 3, No. 1, pp. 20-45
Abbreviation: KNST
ISSN: 2635-4926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0
Received 15 Nov 2019 Revised 23 Dec 2019 Accepted 19 Jan 2020
DOI: https://doi.org/10.31818/JKNST.2020.03.3.1.20

동해 남서부 해역의 중규모 소용돌이에 따른 수상함 운용 복합소나시스템의 탐지성능 변화에 대한 연구
김혜림1, * ; 최지웅2
1해군 작전사 제6항공전단 정보참모 소령
2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교수

A Study on the Detection Performances of the Integrated Sonar System Operated by Surface Vessel in the Mesoscale Eddy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Hye-Rim Kim1, * ; Jee-Woong Choi2
1Commander, ROK Fleet, Air Wing 6, Intelligence Director Lieutenant Commander
2Professor, Department of Marine Science and Convergence Engineering
Correspondence to : *Hye-Rim Kim E-mail: proudkhr@naver.com


© 2020 Korea Society for Naval Science & Technology
Funding Information ▼

초록

본 논문에서는 향후 해군에서 도입될 예정인 수상함 운용복합소나시스템의 중규모 소용돌이 환경으로 인한 소나탐지성능 변화에 대해 다루었다. 소나탐지거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크게 소나시스템의 종류와 해양환경 특성 2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요소에 대한 소나탐지거리를 분석하였다. 여기서 소용돌이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최대탐지거리와 누적탐지거리 오차범위의 평균값,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군에서 대잠수함 작전시 소나 탐지성능에 대한 오차범위를 감안하여 소나를 운용한다면 표적에 대한 탐지가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This thesis goes in depth about the changes in the capabilities of sonar detection due to mesoscale eddy environment in an Integrated Sonar System Operated by Surface Vessel which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Navy in the near future. Factors that affect the distance of sonar detection can be categorized by 1) type of sonar system and 2)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Here,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the maximum detectable and cumulative detectable range of margin of errors are presented in the presence of the eddy. Based on this, if the sonar is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margin of error on sonar detection performanc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nti-submarine warfare, it is expected to improve the detectability of the target.


Keywords: Integrated Sonar System Operated by Surface Vessel, Mesoscale Eddy, Detection Performances
키워드: 수상함 운용 복합소나시스템, 중규모 소용돌이, 탐지 성능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도 국방과학연구소에서 지원하여 수행된 연구임.

본 논문은 해군과학기술학회 2019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References
A. D. Waite, “Sonar for Practising Engineers, 3rd edition”, WILEY and SONS, UK, pp. 119-124 (2002).
J. W. Choi, K. S. Yoon, J. Y. Na, J. S. Park, and Y. N. Na, “Shallow water high-frequency reverberation model”, J. Acoust. Soc, Kr. 21, pp. 671-678 (2002).
A. D. Waite, “Sonar for Practising Engineers, 3rd edition”, WILEY and SONS, UK, pp. 125-140 (2002).
M. B. Porter, “Gaussian beam tracing for computing ocean acoustic fields”,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82, No. 4, pp. 1349-1359 (1987).
P. J. Mcdowell, “Environmental and Statistical Performance Mapping Model for Underwater Acoustic Detection Systems” (2010).
W. Munk, P. Worcester and C. Wunsch, “Ocean Acoustic Tomography : A scheme for large monitoring, Deep-Sea Res”, 26, pp. 123-161 (1970).
국립해양조사원, “우리나라의 해양 영토”, (2010).
임세한, “동해 북부해역의 수중음파전달 변동성,”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10.4. pp. 52-61 (2006).
J. C. McWilliams, “The Nature and Consequence of Oceanic Eddiies, Ocean Modeling in an eddying Regime,” Grophys, Monogr, Vol. 177, Amer Geophys, Union, 5-15 (2008).
장한태, “난수성 소용돌이에서 쌍방향 음선추적 기법을 이용한 수중표적 탐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서울 (1997).
안덕수, “동해의 난수성 와동류내에서 표적탐지 거리 예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국방대학교 군사과학대학원 (1999).
이상호, “독도 냉수성 소용돌이의 이동이 동한난류 변동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군산대학교, 군산 (2018).
D. A. Mitchell, W. J. Teague, M. Wimbush, D. R. Watts and G. G. Sutyrin, “The Dok Cold eddy”, J. Physic. Oceanogr, 35, pp. 273-288. (2005)
이경재, “저해상도 해면고도 자료로부터 도출한 동해의 중규모 소용돌이 : 탐색 알고리즘과 소용돌이 특성의 통계적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2013)
국방과학연구소, “해양 환경 기반 통합소나체계 최적 운용조건 연구 최종 보고서”, (2019).
C. S. Ahn and S. Y. Oh, “Gaussian Model Optimization using Configuration Thread Control In CHMM Vocabulary Recognition. Journal of Digital Polic and Management, 10(7), pp. 167-172 (2012).
김원기, “동해에서 난수성 소용돌이의 원거리 음파전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향학회지 제34권 6호, Vol 34. No. 6, pp. 455-462 (2015).
김봉채, “동해에서 저주파 음파전파에 미치는 난수성 소용돌이의 영향”,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4(3). pp. 325-335 (2012)